비문증이란?
눈앞에 날파리 같은 작은 물체가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비문증 또는 날파리증이라고 합니다.
우리 눈에는 눈의 용적 대부분을 채우고 있는 유리체라는 맑은 액체가 눈 안으로 들어오는 시각적 자극을 거의 그대로 투과시켜 망막으로 전달시킵니다. 그러나 유리체에 작은 혼탁이 있을 경우 빛이 통과하다가 망막 위에 그림자를 만들게 되며 파리나 모기 같은 곤충 모양, 점 모양, 동그란 모양, 아지랑이 모양, 실오라기 같은 줄 모양 등 다양한 형태가 보이게 됩니다.
동시에 여러 개가 보일 수도 있으며, 수시로 여러 형태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눈을 감아도 보일 수 있고, 눈을 움직일 때 같이 움직이며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맑은 하늘이나 벽, 하얀 종이를 바라볼 때 더 뚜렷하게 보입니다.
비문증의 원인?
비문증은 대부분 노화과정에 의한 변화 때문에 발생합니다.
눈 속의 유리체는 나이가 들수록 수축되어 덩어리지거나 주름이 생기게 되어 부유물을 만듭니다.
하지만 근시가 있는 경우네는 젊은 사람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일찍 나타날 수 있습니다.
노화 이외에 비문증을 일으킬수 있는 다른 원인으로는 백내장 수술 후, 유리체 출혈, 포도막염, 망막열공, 망박박리 등이 있습니다.
비문증과 비슷한 것으로 번갯불 현상(광시증)이 있는데, ㄴ눈을 세게 부딪쳤을 때 눈앞에 불이 번쩍이는 것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유리체가 수축하면서 망막을 당기게 되사면 이것이 눈 속에서 불이 번쩍하는 느낌을 주게 됩니다.
수 주에서 수개월 동안 없어졌다가 다시 생기기도 하고 나이가 들수록 더 흔히 나타납니다.
광시증은 편두통이 있는 경우에도 나타나며 나이가 많아지면서 자연히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 증상만으로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간혹 안과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비문증이 생기면 일단 안과 검진을 통해 그 현상이 단순한 비문증인지 또는 다른 원인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 비문증일 경우 눈앞에서 어른거려 불편을 느낄 때는 잠시 위를 쳐다봤다가 다시 주시하면 일시적으로 시선에서 없어질 수 있습니다. 일부는 계속 보일 수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대개는 옅어지고 적응이 됩니다.
비문증은 안약이나 먹는 약으로 치료되지는 않으며 원칙적으로 수술 치료를 하지 않으나, 경우에 따라 시야를 가리는 큰 혼탁으로 일상생활이 힘들 경우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떠다니는 물체가 많아질 때, 또는 눈앞에 무엇이 가리는 것 같은 증상이 느껴질 때는 반드시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비문증과 같은 증상을 보이지만 실제로는 심각한 망막질환인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발견 시기에 따라 시력의 유지 정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조속한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김안과병원 안내책자 참조>
댓글